한자의 제자 원리 – 육서(六書) ①
한자의 구성 원리와 운용방법에 따라 자체로서 만든 것인
‘상형(象形), 지사(指事), 회의(會意), 형성(形聲)’의 사체(四體)와
응용해서 만든 것인 ‘전주(轉注), 가차(假借)’의 二用(이용)으로 분류됩니다.
이 사체 이용의 분류 방식을 육서(六書)라고 합니다.
1. 상형
상형(象形)이란 ‘형을 본뜬다‘라는 뜻으로, 상형자는 원래는 원시적 그림에서 출발하였습니다.
처음에는 원물체의 모양과 유사하였으나,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모양이 점차 간단해져서 원물체와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었습니다.
각각의 글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본뜬 것입니다.
- 일(日), 월(月)은 천체(天體)
- 산(山), 천(川)은 지리(地理)
- 인(人), 목(目)은 인체(人體)
- 마(馬), 양(羊)은 동물(動物)
- 목(木), 미(米)는 식물(植物)
- 정(鼎), 두(豆)는 기물(器物)
2. 지사
지사(指事)란 사물의 형태를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없는 추상적(抽象的)인 개념을 지닌 것의 그 의미를 관념적으로 나타내는 글자입니다.
예를 들면 상(上), 하(下) 두 글자는 원래 지평선의 위, 아래를 점으로 지시하여 위와 아래를 관념적으로 표시한 글자들입니다.
큰 대(大)는 사람이 팔 다리를 벌리고 서 있는 형상을 본떠 크다는 뜻을 나타냈고,
들 입(入)는 초목의 뿌리가 땅 위에서 밑으로 뻗어 들어가는 형상을 본떠 들어간다는 뜻을 나타낸 것입니다.
3. 회의
회의(會意)란 상형(象形)과 지사(指事)에서 이루어진 이미 만들어진 글자들을 둘 또는 셋 이상 결합시켜 전혀 새로운 뜻을 관념적으로 표시한 것입니다.
예를 들면 이름 명(名)은 저녁 석(夕)자와 입 구(口)자가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로,
저녁이 되어 날이 어두우면 사람들이 서로의 얼굴을 볼 수 없으므로, 입을 열어 자기의 이름을 대지 않으면 식별하기 어려운 데서 이름을 뜻하게 되었습니다.
선비 사(士)는 한 일(一)과 열 십(十)이 합하여 이루어진 글자입니다.
하나를 들으면 열을 아는 사람이 선비이므로, 선비를 뜻하게 된 것입니다.
이렇게 오늘은 상형과 지사, 회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.
다음 시간엔 2부로 형성과 전주, 가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게요.
더 많은 한자/일본어/한국어 공부는 애기쥐의 한자 나라에서 만나보세요!
↓↓↓ 다음 시간 내용 ↓↓↓
↑↑↑ 다음 시간 내용 ↑↑↑